맥미니 M2pro 개발환경 설정
맥 기본 설정 후 개발 환경을 정리해 본다.
1. Homebrew
자바 설치를 알아보다가 패키기 관리로 먼저 설정했던 내용들이 필요한 것을 알게 되어 우선적으로 설치하였다. 맥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으로 기억하고 설치하자. ( https://brew.sh/index_ko )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들은 해당페이지에서 최신정보를 참고하자.
오늘은 유용한 패키지 관리자와 심볼릭 링크까지 정리하였다.
Apple에서 제공하지 않는 유용한 패키지 관리자 설치
$ brew install wget
Homebrew 전용 디렉토리에 패키지를 설치하고 심볼릭링크를 확인하고 없을 경우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심볼릭링크를 설정한다.
-- 참고 opt/homebrew 위치로 심볼릭 링크를 연결합니다.
$ cd /opt/homebrew
$ find Cellar
Cellar/wget/1.16.1
Cellar/wget/1.16.1/bin/wget
Cellar/wget/1.16.1/share/man/man1/wget.1
$ ls -l bin
bin/wget -> ../Cellar/wget/1.16.1/bin/wget
brew --version 으로 설치를 확인하자. 모두 순서되로 실행했는데 아직 명령어를 못찾는 다면 paths파일을 재로딩 시키거나 터미널을 새로 시작해서 확인해 보자.
2. 자바 설치
( 2023.03.22 )
구 시스템 유지보수의 경우는 해당 시스템에 맞춰서 설치하고 해당 버전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경우일 것이다.
하지만, 새로 구성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준비한다면 해당 구현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의 문제일 것이다.
앞서 버전별 특징을 살펴본봐와 같이 버전별 변경되는 사항이 있기 때문에 버전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내용이다.
spring boot 3 과 node.js 배포버전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jdk 17 이상이면 될것으로 보인다.
--- 애플실리콘인 경우
oracle jdk, oracle openjdk, red hat jdk, azul zulu jdk, amazon corretto jdk 등을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Oracle OpenJDK 17을 아래명령어로 설치가 가능하다.
$ brew install openjdk@17
...
If you need to have openjdk@17 first in your PATH, run:
echo 'export PATH="/opt/homebrew/opt/openjdk@17/bin:$PATH"' >> ~/.zshrc
For compilers to find openjdk@17 you may need to set:
export CPPFLAGS="-I/opt/homebrew/opt/openjdk@17/include"
$ vi ~/.zshrc
export JAVA_HOME=/opt/homebrew/Cellar/openjdk@17/ 상세버전 /libexec/openjdk.jdk/Contents/Home
export PATH=${PATH}:$JAVA_HOME/bin
설치시 안내해주는 경로를 패스에 입력하는 방법과 상세버전의 홈을 자바홈으로 설정해서 하는 경우 둘다 자바 실행이 가능하다.
ex1)
export JAVA_HOME=/opt/homebrew/Cellar/openjdk@17/17.0.6/libexec/openjdk.jdk/Contents/Home
export PATH=${PATH}:$JAVA_HOME/bin
ex2)
export JAVA_HOME=/opt/homebrew/Cellar/openjdk@17
export PATH=${PATH}:$JAVA_HOME/bin
삭제시에는 `brew cleanup openjdk@17`으로 삭제할 수 있다.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를 생각한다면 amazon corretto jdk를 받는 것이 좋을 듯 싶고 red hat 서버로 서비스를 생각한다면 red hat 에서 jdk를 받는 것이 좋을 듯 싶다
아직 서버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면 어떤 곳에서 받는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 애플실리콘이 아닌경우
여기서 brew를 통해 설치하는 것을 확인해 보자
brew update
brew search jdk
% brew search jdk
==> Formulae
openjdk openjdk@11 openjdk@17 openjdk@8 jd mdk cdk
==> Casks
adoptopenjdk jdk-mission-control oracle-jdk sapmachine-jdk
gama-jdk microsoft-openjdk oracle-jdk-javadoc semeru-jdk-open
% brew tap adoptopenjdk/openjdk
==> Tapping adoptopenjdk/openjdk
Cloning into '/opt/homebrew/Library/Taps/adoptopenjdk/homebrew-openjdk'...
remote: Enumerating objects: 2010,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100% (74/74),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28/28), done.
remote: Total 2010 (delta 56), reused 60 (delta 46), pack-reused 1936
Receiving objects: 100% (2010/2010), 376.01 KiB | 15.67 MiB/s, done.
Resolving deltas: 100% (1436/1436), done.
Tapped 47 casks (69 files, 526.2KB).
% brew search jdk
==> Formulae
openjdk openjdk@11 openjdk@17 openjdk@8 jd mdk cdk
==> Casks
adoptopenjdk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jre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openj9
...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10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11
...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15
...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16
...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8
...
oracle-jdk
oracle-jdk-javadoc
sapmachine-jdk
semeru-jdk-open
$ brew install --cask adoptopenjdk14
출처 : https://llighter.github.io/install-java-on-mac/
맥에서 Brew로 자바 설치하기(feat. 자바버전 바꾸기)
llighter.github.io
3. vscode 설치하기
공식홈페이지를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아준다.
https://code.visualstudio.com/docs/setup/mac
다운로드 후 .app 파일을 응용프로그램 폴더로 옮겨주고 실행하여 (쉬프트+컴맨드+p)를 눌러서 ’Shell Command: install ‘code’ command in PATH’를 선택하고 엔터를 누르면 터미널에서 code . 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4. node.js ( LTS 18.15 ) 자동설치시 v19.8.1
homebrew를 사용해서 설치해 준다.
brew install node
brew install yarn
node -v
npm -v
yarn -v
이제 기본 설정은 마무리 되었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은 개발을 위해 필요할떄 설정하면 될것 같고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내용에 대한 맥미니 개발환경 설정을 마무리하겠다.
참고로 M2 맥미니 개발환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