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소개
오늘은 파이썬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고 앞서 이야기했듯이 colab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은 1989년네덜란드의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했습니다. 배우기 쉽고,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효율적인 자료 구조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간단하고도 효과적인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인터프린터 언어로서 C, C++혹은 다른 언어로 구현된 함수나 자료구조를 쉽게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공부는 대략 3가지를 추천합니다. 첫번째는 지금 이글과 같이 강좌로 되어 있는 것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파이썬 공식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자습서 입니다. ( https://docs.python.org/ko/3/tutorial/ ) 마지막으로 3번쨰는 파이썬 표준 라이브러리에 나와있는 모듈과 실제사용하는 모듈의 적용해보는 것입니다.
그외에도 프로그래밍에 어느정도 능력이 된다면 자료형(숫자, 문자, 문자열, 배열 등), 기본 문법( 조건문, 반복문, 기본 함수 사용법 등 )을 읽어보고 샘플코드를 선정하여 작성해보는 셰도우 코딩을 추천합니다.
Colab를 이용한 파이썬 공부
크롬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s://colab.research.google.com/ 입력하거나 검색창에 colaboratory 또는 colab 를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화면 구성을 보면 아래와 같이 상단 메뉴와 사이드바 메뉴를 볼수 있습니다.
상단 메뉴에서 파일 -> 새노트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작업 공간이 생성이 됩니다.
파이썬 파일의 확장자는 py이지만 코렙에서는 ipynb를 사용하는 점이 다릅니다.
Untitled1.ipynb <-- 이부분을 클릭하여 파일명을 변경하면 원하는 파일명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저장하게 되면 연결되어 있는 구글 구글 드라이버에 저장이 되며 GitHub 에 사본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각 파일은 [코드],[텍스트]의 두가지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텍스트 영역은 주석영역으로 일반 문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코드 영역은 파이썬 문법에 맞추어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해 볼수 있습니다. 코드 영역에 한줄 주석은 #를 입력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럭 주석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와 """를 이용하여 사이에 주석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내용은 여기까지 알아보고 다음에는 기본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램 > python&&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Django 웹 프레임 워크 간단 설명 (0) | 2023.05.10 |
---|---|
django 로컬 개발 서버 알아보기(2023.05) (1) | 2023.05.10 |
django 웹서비스 구성(2023.5) (0) | 2023.05.03 |
Notion AI를 이용한 Python 요약 (2) | 2023.04.13 |
python 강좌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