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보급으로 인한 변화처럼 발달되고 있는 인공지능의 보급은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주게 될 것입니다.
교수 방법에 대해서 배우면서 진보된 기술을 배척이 아닌 올바른 수용과 활용에 대해서 좀 더 적극적으로 바라보게 되어 해당하는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웹서비스 개발자로 일해왔고 프로젝트 관리자로 근무하고 있기 때문에, ChatGPT 3.5버전이상의 서비스에서 핸드폰, 인터넷 등의 보급과 같이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주게 될 기술이 나온 것을 더욱 실감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머신러닝 등 인공지능 엔진개발에서 이제는 인공지능 엔진 활용하는 것을 배워야 하는 시대가 온것 같습니다.
현재 제일 우려스런 것은 비슷한 수준의 인공지능 엔진을 여러 곳에서 만든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공지능 환각]에 대한 교차 검증이 안되고 근거와 출처 등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서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2023년 한국은 인공지능에 대해서 교육의 방향도 다각도로 접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전에는 인공지능 엔진개발에 관련된 교육이 중심이었지만, 인공지능에 대해서 이제는 일반인들도 활용하는 시대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평가중심의 대학입시의 대한민국에 인공지능을 이용한 글과 그림을 활용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커다란 이슈가 될 것입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시대 AI 교육에 대해서 3가지로 접근해 볼까 합니다.
- 인공지능 엔진
- API를 통한 인공지능 활용 및 개발
-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방법
인공지능 상품에 대해서 판매를 위해 과도한 포장이 나올 수 있습니다. 우리는 좋은 점과 나쁜 점을 구분해서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교육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게 될 것인데 지금(2023.04.) 가지고 있는 생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공지능은 활용시 주의할 점은 "환각"현상이다. 인공지능이 알려주는 것이 항상 진실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해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많아서 사용하게 될 것이다.
> 또한 인공지능이 작성한 것이 윤리적 문제(다른 사람의 글을 도용 또는 인터넷에 있는 것을 무단 수집)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하고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즉 모든 내용에 대해서는 근거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고 무분별하게 사용해서도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