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도커를 사용하여 DB를 가지고 연동부분을 보게 되어 도커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합니다.
도커의 개념이나 역사는 다른분들이 많이 다루고 있고 책을 사서 읽어보아 내용을 알고 있지만 읽을 수록 피곤해지고 개념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것이지 정말 되는지 된다면 어떻게 해야 사용이 가능한지 그리고 운영에서도 이걸 사용할 수 있는지 정말 궁금해 졌습니다.
그래서 설치부터 정리하면서 시작해 보려 합니다.
참고로 개인 프로젝트는 접은 상태에서 프레임웍 레퍼런스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상태에서 매번 테스트를 위해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하고 관리하지 않았던 입장에서 도커는 데이터 베이스 설치를 도와 줄 것으로 아는 정도에서 시작하고 있습니다.
잘못 알고 있는 부분도 있겠지만 빠르게 배워야 하는 상황이니 실습 위주로 진행 중에 있습니다.
1. 도커 설치
2. 도커 이미지 예제
3. 기타 가이드
1. 도커 설치
맥에서 설치 명령어와 버전 확인하는 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or
> brew install Docker. ( docker demon은 별도로 사이트에서 받아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해 주어야 한다.)
>docker version
명령어로 설치하는 것 외에 사이트에서 운영체제에 맞춰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도 가능하다.
> https://docs.docker.com/get-docker/
Get Docker
docs.docker.com
설치가 되었다면 docker demon를 실행해 주어야 한다.
결국 사이트 가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서 실행해 주었고, 실행 후 docker test 진행하였습니다.
이제 첫 이미지를 받아서 테스트가 완료 되었습니다.
받은 이미지 확인 하는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ocker image ls [--all]
데몬까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상태에서 버전정보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이 나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2. 도커 이미지 예제
가.도커 레디스 설치
> docker run --name some-radis -d redis
> docker run -p 6379:6379 --name radis -d redis
( redis 상세 : https://redis.io/documentation )
나. 도커 mongoDB
> docker run -p 27017:27017 --name mongo -d mongo
( mongoDB 상세 : https://hub.docker.com/_/mongo )
https://docs.spring.io/spring-data/data-mongodb/docs/
3. 기타 가이드
가. docker 명령어
docker image를 생성시 만들고자하는 어플리케이션폴더에 Dockerfile를 만들어서 텍스트로 실행하는 명령어를 기술해주면 됩니다.
https://docs.docker.com/get-started/02_our_app/
Sample application
docs.docker.com
# syntax=docker/dockerfile:1
FROM node:12-alpine
RUN apk add --no-cache python2 g++ make
WORKDIR /app
COPY . .
RUN yarn install --production
CMD ["node", "src/index.js"]
EXPOSE 3000
> docker build -t getting-started
docker run -dp 3000:3000 getting-started
실행 명령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docker run -d -p 80:80 docker/getting-started
- -d 컨테이너 실행모드로 백그라운드 실행
- -p 80:80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포트 맵핑
- docker/getting-started 사용할 이미지명 지정
실행중인 도커이미지의 서비스 확인은 container ls 또는 ps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ocker container ls
> docker ps
실행중인 도커이미지를 멈추는 방법은 stop container_id를 입력하면 멈출 수 있습니다.
> docker container stop container_id
오늘은 간단한 내용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기준으로 좀더 정리하면서 사용하면 도움이 많이 될것 같네요.
'프로그램 > 짜투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rker에 jenkins 설치(2023.04) (0) | 2023.04.17 |
---|---|
Dorker에 Oracle 설치(2023.04) (3) | 2023.04.15 |
Dorker 윈도우에 설치하기( 2023.04 ) (0) | 2023.04.15 |
맥미니 M2pro 개발환경 설정 (0) | 2023.03.21 |
window에 도커 사용해서 jboss사용하기[docker jboss] (0) | 2022.11.14 |